[KT 에이블스쿨 - IT 트랜드] 7주차 | 야놀자 LLM, KT 믿음, 온디바이스AI와 sLM

        

          



     

    에이블스쿨 스터디로 조원들과 IT 트랜드 발표 및 토론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7주차 (4월 29일 ~ 5월 03일)


    야놀자의 트래블테크와 LLM 


    • 야놀자의 LLM = EEVE-Korean 모델
      • 한국어 기반의 LLM 모델 중 가장 좋은 성능을 보임
      • NIA와 협력한 한국어기반 LLM 컨테스트에서 1위함
      • 마이크로소프트의 phi2와 업스테이지의 솔라(국내llm)가 기본모델
        • 프리튜닝, 파인튜닝 둘다 했음 

    • 3가지 모델에게 같은 질문을 했을때, 차이 
      • 1, 구글의 감마 : 답변은 해주는데, 답변 길이가 짧음
      • 2. 위자드 : 답변도 해주고, 답변의 길이가 길고, 환각현상이 있음
      • 3. EEVE-Korean : 정확하고 답변의 길이가 긺. 




                                         




    KT의 초거대 AI (믿음)

    AI 풀스택으로 자체 AI 생태계를 구축해 고객사에 합리적인 비용으로 초거대 AI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함 

    자사의 파운데이션 모델을 튜닝함 

    AI 풀스택 : AI반도체와 클라우드 등 AI 인프라부터 고객이 사용하게 되는 AI 응용 서비스까지 모두 아우르는 통합 상품

    (혜택) 믿음의 기업전용 AI 클라우드팜을 패키지로 제공

    클라우드팜은 기관·기업의 수요에 맞춰 고객사만의 클라우드 서버팜(Farm)을 내부에 구축하고 관리할 수 있는 서비스


    글로벌, 제조, 금융, 공공, 교육의 5대 영역으로 초거대 AI 사업 영역을 확장


    KT에서 고객사의 서비스 특성에 맞춰서 믿음(LLM)의 파라미터를 조정해 제공하는것임 






                                         




    온디바이스AI와 SLM 

    서버를 거치는 AI와 달리 기계 안에서 AI를 처리하기에 처리속도가 빠름

    개인정보 보호 - 사용자의 데이터를 기기 내에서 처리

    초개인화 - 사용자의 데이터를 학습해 사용자에게 맞춤화된 정보 추천

    인터넷 없이도 사용 가능 


    LLM과 SLM 

    특정 영역에서 LLM보다 더 작은 파마리터로 LLM과 동일한 위력을 가짐

    (LLM은 수천억 ~ 수조개의 파라미터, SLM은 수십억개의 파라미터) 

    적은 파라미터로도 사용이 가능하기에 LLM을 대신해 sLM을 사용하는 기업이 늘고 있으며

    온디바이스 AI에 적용에 용이


    일부의 온디바이스 AI는 서버와 독립적이지 않아 인터넷이 되지 않는 환경에서 사용이 불가할 때도 있음

    디바이스 안에 AI를 넣는 것은 효과적이나 하드웨어 조건이나 기술력이 필요해 가격이 높아질 수 도 있음 


    삼성의 갤럭시 폰의 번역기능을 제공하는 온디바이스 AI의 경우에는 서버와 독립적이기에 인터넷이 없는 환경에서도 사용이 가능 








    댓글

    이 블로그의 인기 게시물

    [KT 에이블스쿨 - IT 트랜드] 국내외 AI 관련 규제

    KT 에이블스쿨 : 6-7차 미니프로젝트 - 제안서 기반 솔류션 기획 및 설계

    KT 에이블스쿨 : 클라우드 서비스 1일차 정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