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에이블스쿨 - IT 트랜드] 8주차 | 멀티모달 AI, 소버린 클라우드, AGI, 양자컴퓨터
에이블스쿨 스터디로 조원들과 IT 트랜드 발표 및 토론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8주차 (5월 07일 ~ 5월 12일)
멀티모달 AI
구글의 '제미니 1.5 프로'
엔트로픽의 '클로드 3'
오픈AI의 '소라'
LLM과 비전모델을 합쳐서 Gen 영상AI를 만듦
래빗의 LAM 기술도 멀티모달 AI에 해당됨
소버린 클라우드
(정의) 특정국가의 영토내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해 데이터주권을 지키는 것
(장점) 국제 연결이 끊기거나 기업 문제가 생겨도 안정적인 서비스가 가능함
(단점) 소버린 클라우드는 국가가 다르면 이용이 어려울 수 있음
(단점) 정부가 시민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감시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음
(현황) 아시아 태평양 지역에서 소버린 클라우드 붐이 일어남 (일본 제외)
(활용분야) 정부, 의료와 같이 규제가 심한 조직에 빠르게 사용될 것
- 스마트 시티 서비스를 제공할때 이용 가능
- 공공행정을 위한 챗봇
데이터 주권을 지키기 위함
(어려움) 구현이 어려움. 전문가 부족. 멀티 클라우드 통합시 어려움
(질문) 규제준수때문에 신기술 채택으로 기술발전이 어려울 수 있음
AGI
https://insight-power.blogspot.com/2024/05/it-ai-agi-artificial-general.html
양자 컴퓨터
0과 1만 구분할 수 있는 기존 컴퓨터와 달리 0, 1을 동시에 처리해 빠름
0과 1을 특정할 수 없고, 중첩이 가능함
ex) 동전을 예시로 들었을때
기존 컴퓨터는 동전 앞면, 뒷면만 하나씩 처리가 가능하다면
양자 컴퓨팅은 동전을 세우고 돌려서 동전 앞뒷면을 동시에 가짐
따라서, 4가지(00, 01, 10, 11) 를 동시에 인코딩하므로 4번해야할 일을 한번에 처리함
미국 : IBM에서 23년 말에 최초로 1121 큐비트 양자컴퓨터 개발함
중국 : 23년 10월 255큐비트
EU : 35년까지 실현하기 위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최근 시작
일본 : IBM과 공동연구
한국 : 24년 초 20큐비트 시연함
5000개 큐비트 이상이어야 현실에서 사용을 할 수 있지만,
현재는 실험실 같은 굉장히 제한적인 상황에서 개발되고 실현된 것이지
산업계에 상용화되어 있지는 않음
아직 상용화되기에는 멀다고 보여짐
댓글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