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에이블스쿨 - IT 트랜드] 3주차 | 블록체인, AI, 데이터 패브릭, 호모 프롬포트, 금융디지털
에이블스쿨 스터디로 조원들과 IT 트랜드 발표 및 토론한 내용을 정리하고 있습니다
3주차 스터디 (4월 1일 ~ 5일)
1. 블록체인 기술과 비트코인에 대한 고찰
1. 국제 송금 수수료를 절감과 시간 단축
ex) 신한은행은 국내 금융권 최초로 스테이블 코인(달러화 등 기존 화폐에 가치가 고정되는 가상화폐)을 활용해 실시간 해외 송금 기술을 검증함
전체 송금 시간은 35초에 불과하며, 별도 수수료 없음
블록체인 네트워크 사용료만 건당 100원 이하로 발생하고 해외 송금 진행 상황도 실시간 확인이 가능
(문제) 기술적으로는 가능하다는 것이 입증됐으나 각국의 이해관계와 규제 장벽에 부딪혀 상용화되지는 못하고 있다.
2. 비대면 대출 서비스
3. 전자공증
블록체인 인프라 내에서 공문서 생성과 유통, 검증까지 지원하는 것으로 과거에 사서증서에서만 활용하던 전자공증을 공정증서에까지 확대
법무부는 블록체인 기반 전자공증 시스템 사업을 추진 중
4. 고가 물품 거래
명품 플랫폼 '구하다' : 판매하는 명품의 유통 이력을 블록체인상에 기록해 관리자나 소비자와 공유해 진품 여부 확인 가능
5. 전자투표제
에스토니아는 2011년 국회의원 선거에 블록체인 기반 전자투표를 수행함
2. AI 비즈니스를 위한 ESG 경영
아마존 쇼핑몰에서 생성형AI의 오류가 생겼을때,
생성형AI의 오류 메세지가 상품명을 덮어서 고객은 확인이 힘들었음
이처럼 생성형AI에 오류가 생기면 문제해결할수있는 사항이 없는데, 어떻게 해결하는지가 중요
GPU를 사용하는데 많은 냉각수가 드는 문제에 대처하는 주요 기업
MS : 해저에 데이터센터를 설치
구글 : 필란드 바닷가옆에 데이터센터를 설치해 냉각을 쉽게함
생성형 AI의 문제점
- 데이터의 편향성으로 인한 차별
- 윤리적 책임
ex) 아마존의 ai 플랫폼 알렉사가 sns에 유행했던 챌린지를 권유했다가 생명을 잃을수도 있는 위험을 초래한 바가 있음
- 데이터 프라이버시 사용자의 음성 명령을 무단 수집하고, 외부에 무단 배출한적이 있음
AI는 esg달성을 위한 중요한 요소이긴하나, 한편으로 위험요소가 될수도 있다는 생각이든다.
: 온프레미스와 클라우드의 구분보다 기업이 원하는 요건과 상황에 따라
두 방식의 혼용까지 유연하게 선택할 수 있는 것이 중요
- 데이터 거버넌스(Data Governance)
- 데이터 수명 주기 동안 데이터 관리에 사용되는 원칙적인 접근법
- 데이터 메시(Data Mesh)
- 분산된 소유권을 통해 고급 데이터 보안 문제를 해결하는 아키텍처 프레임워크
- 데이터 패브릭(Data Fabric)
- 데이터 및 연결 프로세스의 통합 계층(패브릭) 역할을 하는 설계 개념
- 데이터 사일로* 전반에서 수집, 구성, 검색, 준비, 통합을 자동화함으로써 인사이트를 촉진.
- 주요 프로세스를 자동화하여 데이터와 인사이트의 제공을 가속하는 의미론적 계층을 의미
4. 호모 프롬포트
AI는 프롬포트만큼만 똑똑해질수있음
호모프롬포트 : 자신만이 보유한 인간 고유의 창의성을 더욱 고양시키는 방향으로 각종 인공지능 서비스를 적재적소에 사용할 수 있는 사람
- 할루시네이션을 대응할 만한 질문을 하는 역량을 길러야한다고 생각함.
- 우리가 근본적으로 잃어서는 안되는 능력은 질문하고 스스로 사고하는 일
- 호모프롬포트와 프롬포트 엔지니어는 초창기에 생긴 일시적인 직업이지, 인간 모두가 호모프롬포트의 역량을 가져야한다고 생각함
Q) AI가 메타인지를 가지게된다면 인간은 어떻게 ?
A) 산업혁명이 일어올때마다, 기존의 일부 직업은 사라지고, 새로운 직업이 다시 생겨났듯이
앞으로는 AI로 파생된 다른 직업군에서 일하게 될것
5. 금융산업의 핵심 디지털 트렌드
금융기업의 움직임 - 금융과 IT 기업의 결합
다양한 규제 하에서 비교적 보수적으로 운영하던 금융권이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전통적인 금융 서비스를 넘어 IT 기업의 서비스와 결합하는 전략으로 바뀌고 있음
ex) '그랩' 앱을 통해 자동차보험에 가입,
신한 쏠야구 : 은행 앱에서 프로야구 경기의 점수를 실시간으로 확인
하나 하플콘 : 은행 앱에서 콘서트 티켓을 응모하여 콘서트를 관람
SK C&C MI Report 3월호 |
1. AI 활용
직원의 업무 효율성(KB)을 위해, AICC(신한)을 위해, 상담 및 챗봇 서비스를 위해
AI를 적극적으로 활용 및 개발하고 있음
2. 피지털
Physical + Digital : 오프라인의 물리적 경험을 디지털 기술을 통해 확장하는 것
ex) 아마존 프레쉬의 계산 절차 없이 자동 결제 되는 기술, 싱가포르의 한 은행은 화상통화를 지원하는 ATM함
3. 게이미피케이션
게임의 매커니즘, 사고방식, 디자인을 게임이 아닌 분야에 적용해 사용자의 참여와 몰입을 유도하는 기법
ex) 당근마켓의 매너온도와 활동배지, 토스뱅크의 고양이 키우고 간식받기 서비스 & 전국민 미라킁 모닝 도전하기 서비스
이런 게이미피케이션 기법을 통해서 사용자가 자발적으로 금융앱을 들어오도록 유도함
4. 콘텐츠 마케팅
콘텐츠 자체로 흥미있는 내용을 구성해 홍보
ex) 블로그, SNS 카드뉴스 릴스, 유튜브, 팝업스토어 등
5. 분초사회
신한은행에서 기존에 5개의 앱을 하나로 통합했고,
앱의 첫화면에 많이 사용하는 서비스를 배치해 시간을 절약함
ex) 신한은행 - 슈퍼SOL, 금융위원회 - 서민금융 잇다(가칭)
댓글
댓글 쓰기